"아무거나 먹으면 효과 없어요" 약사들이 즐겨먹는 술먹어도 간이 1도 안상하는 조합
본문 바로가기
j

"아무거나 먹으면 효과 없어요" 약사들이 즐겨먹는 술먹어도 간이 1도 안상하는 조합

by 덕질언니 2022. 6. 11.
반응형

술을 좋아하지 않더라도 불가피하게 술자리를 가질 때가 있습니다.

 

술을 좋아하는 분들도 가장 걱정하는 것이 바로 숙취입니다.

 

이럴때 숙취해소제를 많이들 찾는데요.

 

하지만 숙취해소제가 진짜 효과가 있나? 한번쯤 생각해 본적 있으시죠?

 

숙취해소제라고 다 같은게 아닙니다. 

 

오늘은 약사들이 추천하는 숙취해소제 조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숙취는 왜 일어날까요?

우리몸에서 알코올이 분해되면 간에서 '아세트알데히드' 라는 중간산물을 만들게 됩니다.

 

이 성분이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구토, 메스꺼움, 붉은얼굴, 어지럼증, 손발저림 등 숙취를 유발하게 됩니다.

 

그래서 숙취해소의 핵심은 이 '아세트알데히드'를 빨리 제거해주는 것입니다.

 

숙취해소제 효과가 있을까?

 

사실 편의점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여러 숙취해소제는 약만큼 숙취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으로 분류되지 않고 음료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진짜 숙취해소제를 사고 싶다면 약국에서 사야합니다.

 

약사가 추천하는 증상별 조합

숙취해소제는 종류에 따라 각각 효과가 다릅니다.

 

 따라서 술을 마셨을 때 숙취 증상에 맞는 숙취해소제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1.  울렁거림, 구토, 속 안좋음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감이 밀려드는 숙취 증상에는

 

약사 대부분이 위를 보호하는 위장약을 추천했습니다.

 

특히 한약 성분의 제제인 위장관 운동을 도와주는 반하사심탕 복용을 추천합니다.

 

 

또한 속이 좋지 않은 경우엔 위장운동 조절제 트리메부틴 말레산염을 추천합니다.

 

이 약은 위장운동이 잘 되게 도와줘 구토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그리고 제산제는 속이 쓰리거나 따가울때 복용하면 위벽을 중화시켜 낫게 해준다고 합니다.

 

2. 숙취로 인한 어지럼증

숙취로 인해 두통이 심할때 아무 진통제를 드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절대 아세트 아미노펜을 복용하면 안됩니다.

 

(아세트 아미노펜 = 타이레놀, 게보린, 이지엔6, 써스펜 등)

 

아세트 아미노펜은 술과 함께 복용하면 간독성을 유발합니다.

 

두통이 너무 심하다면 이부프로펜을 드시는게 낫습니다. (이것도 좋진 않으니 되도록 자제)

 

 

유뷰트의 고약사는 헤포스와 가레오를 섞어 먹으면 두통과 메스꺼움에 효과가 좋다고 추천합니다.

 

실제로 숙취가 심한분이 음주전에 복용했다가 신세계를 맛본 조합이라고 합니다.

 

3.  조합하기 귀찮고 하나만 먹고싶을 때

이 약은 제약회사 직원들이 회식 전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이미 유명합니다.

 

유튜버 고약사도 음주 전후 두 알씩 이 약을 먹는다고 말했습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액체형 맛을 꺼리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성분이 주로 비타민C, 비타민B 등으로 비타민 제품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이 성분들이 알코올이 분해되는 데 필요한 효소들을 촉진시킨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명을 추천합니다.

 

여명808은 세계최초 숙취해소제로 특허를 받은 제품입니다.

 

맛은 호불호가 있지만 복용 후 주량이 2배가 되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언제 먹어야할까?

유튜브 조약사는 약리학적으로 봤을 때,

 

술 마시기 전과, 후 중간 모두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니 안먹는것 보단 전이든 후든 먹어주면

 

간을 보호하고 숙취를 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물을 많이 섭취하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아래 링크 누르고 건강꿀팁 참고하세요.

▼▼

👉 건강한 사람도 대장암 걸리게 하는 습관

 

👉 건강한 20대도 유방암 걸리는 흔히 하는 습관

 

 

오늘은 약사들이 추천하는 숙취해소제 조합을 소개해드렸습니다.

 

평소에 숙취가 있던 분들이라면 한번 도전해보시길 바랍니다,

 

이상 꿀팁뉴스였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